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들^^
끄적끄적 이 블로그입니다.
오늘 지방에 출장이 있어서
다녀오는데요,,,
건물 간판에 이런 말이 있더라고요,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4년 뒤에
참 섬뜩한 말인데요,
그래서 오늘 꿀벌에 대해서
재미있게 정보 전달 해볼게요.
우선 첫 번째는 꿀벌이란?
정확하게 무엇인지 알아보죠^^
꿀벌은 꽃 사이를 날아다니며
꽃가루를 옮겨 열매를
맺게 하는 곤충이에요.
다른 말로는
'곤충계의 팔방미인'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식물의 수정을 돕는 일뿐만 아니라
벌집 안에서 애벌레를 키우고
먹이를 저장하며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다양한 활동을 한다고 해요.
이렇게 많은 일을 하는 꿀벌이지만
정작 사람들은 양봉업자 이외에는
꿀벌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현재 꿀벌의 멸종위기는
인간에게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답니다.
꿀벌이 사라지고 줄어드는 이유!
꿀벌의 숫자가 줄어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농약사용 증가,
기후변화, 전자파 피해등이 있어요.
먼저 농약사용 증가는
농작물 생산량 증대를 위해
무분별하게 살포되는 제초제
성분인 파라콰트(Paraquat)라는
물질 때문이랍니다.
또한 기후변화 역시 꿀벌의
생존을 위협하는데요,
기온이 상승하면 수분활동을
하는 벌이 더위에 지쳐 죽게 되고,
이로 인해 번식률이 낮아져
결국엔 꿀벌의
개체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전자파 피해도 꿀벌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 중 하나라고 해요.
휴대폰 기지국 주변에선
휴대전화 전파 수신량이
급증하면서 꿀벌의
방향감각 상실 및 이상행동을
유발한다고 하네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또한 꿀벌에게는 바이러스성
질병인 낭충봉아부패병이라는
병이 유행했다고 하는데요,
이 병은 애벌레 시기에
감염되는 전염병으로 유충이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말라죽는다고 합니다.
전염성이 강해서 한 번 걸리면
치료방법이 없다고 하네요.
그래서 정부차원에서 벌통당
10~20마리씩 격리시켜 키우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지만
효과가 없었다고 합니다.
꿀벌개체수 회복방안은 없을까?
사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직 찾지 못했다고 합니다.
다만 여러 가지
노력들을 하고 있는데요,
첫 번째로는
밀원식물을 심는 것입니다.
꽃향기를 맡고 꽃가루를
옮기는 꿀벌 특성상
꿀이 많이 나는 나무를 심으면
자연스레 벌이 많아지겠죠?
두 번째로는
인공수분기술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직접 화분을
옮겨주는 기술이죠.
세 번째로는
농약사용을 줄이는 것입니다.
네 번째로는
도시양봉을 활성화시키는 것입니다.
도시 곳곳에 벌꿀집을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도심 속
환경보호효과도 있겠죠?
마지막으로는
드론을 이용한 방제작업입니다.
기존 항공방제 작업 시
헬기나 비행기로 진행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만 적용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드론을 이용하면
좁은 구역이라도 효율적으로
방제가 가능하겠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꿀벌의 멸종을
막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이
지속되어 꿀벌들이 다시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공감버튼 한번 눌러주시면
복 받으실 겁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우리말인 단출내기 뜻 무슨인지 간단정리! (0) | 2023.04.28 |
---|---|
바나나 효능의 모든것 보관법까지 알아보죠 (0) | 2023.04.27 |
흉내와 시늉 틀린점 차이점 간단 정리 (0) | 2023.04.23 |
임플란트 이식 시술 후 주의사항&모든것 정보 (0) | 2023.04.22 |
갑상선암의 증상 진단 치료방법 간단정리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