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좋은 정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잠 못 드는 현대인들

위한 건강 꿀팁 5가지


수면 부족은 각종 질병 및 만성피로

원인 될 수 있어 주의 필요하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사에

따르면 성인 남녀 평균 하루

7시간 41분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당한수면시간

하지만 실제로는 권장 수면시간보다

적게 자는 사람도 적지 않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진은

18~25세 사이 연령대 10명

대상으로 실험 진행 결과 8시간 미만

잔 날 몸 속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 수치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영국 카디프대학 신경과학과

데이비드 루이스 박사 팀 발표

자료에 의하면 불면증 환자 뇌 크기

작아져 인지능력 감퇴

현상 발생한다고 한다.

적정수면시간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숙면 취할 수 있을까?

우리 모두 올바른 수면 방법

실천하여 건강 챙겨보도록 하자.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취침 시간과 기상 시간

규칙적으로 유지한다.
2. 잠들기 전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하지 않는다.
3. 낮잠 30분 이내로 잔다.
4. 카페인 섭취 줄이고

흡연 하지 않는다.
5. 잠자리 들기 3시간 전

과식하거나 과음하지 않는다.

 

한편 전문가들은 평소 충분한

수면 취하는 것 좋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20분 정도 짧은 낮잠

자거나 주말에 몰아서 자는

것도 좋다고 조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곤하다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전에도 말했지만 성인

적정수면시간은7~8시간이다.

게다가 잠이 부족하면

혈압 상승하게 되고 고혈압

위험률이 높아진다.

또 당뇨·심장병·뇌졸중 등

각종 질병 발생 위험이 커진다.

특히 하루 6시간 이하로 잠을

자면 면역체계 손상될 뿐만 아니라

암 발병률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적정수면시간은 또 기억력을 향상,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준다.

깊은 수면 단계에 빠지면

성장호르몬 분비돼 세포

재생산 활동 활발해져 피부 좋아지는

법이나 노화방지법에 효과적이다.

 

조금더 자세하게

적정 수면시간을 알아보자.

 

우리나라 성인남녀

적정수면시간은

연령대별로 다르다.

 

먼저 신생아(0~3개월)는

14~17시간,

소아청소년(4~12세)은

9~11시간,

청년(13~24세)은

7~9시간,

성인(25~64세)은

7~8시간,

노인(65세 이상)은

7~8시간이다.

만약 자신에게 필요한

수면시간이 궁금하다면

미국 국립수면재단에서 운영하는

사이트 sleepyti.me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나이별 권장 수면시간만큼

자지 못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잠이안올를 한번 알아보자.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로버트 스틱골드 교수는

불면증 환자들에게

478호흡법을 제안했다.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입을 다문 상태에서

코로 4초간 숨을 깊게 들이마신다.

이후 7초간 숨을 멈춘 뒤

다시 입을 통해 8초간

천천히 내뱉으면 된다.

 

이어 그는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을 바꾸는 게 불가능하다면

매일 10~15분 정도 꾸준히

운동하면 좋다"며 "운동을 하면

깊은 수면단계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져 숙면에 도움준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침실 온도를 18°C로

유지하거나 잠들기 전 따뜻한

물에 목욕하는 것도 잠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반응형
Posted by 메이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