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이면 많은
사람들이 덕담과 함께
세뱃돈을 주고받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복돈'이라 하여 상징적인
의미로도 많이 쓰였다.
그러나 현재는 경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세뱃돈의
액수가 점점 커지고 있다.
심지어 초등학생에게도
10만 원이 넘는
큰 금액을 주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얼마가 적당할까?
세뱃돈이란 우리나라 명절인
설날에 웃어른께서 주시는 돈이다.
이 단어 자체만으로도
어린아이들이 설레어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3.gif)
하지만 어른들 입장에서는
마냥 반갑지만은 않은 게 현실이다.
특히나 취업준비생과 같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더욱
부담스러운 존재다.
그렇다면 과연 설날
세뱃돈은 얼마가 적당할까?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사실 정해진 답은 없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1인당 5만 원 선이 적절하다.
이 이상 넘어가면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친척 중 대학생 또는
취준생 등 사회초년생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또한 너무 적은 금액이라면
오히려 성의 없어
보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세뱃돈으로 적당한
금액을 알아보자면,,,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다면 5만 원 이하가 적당하다.
물론 부모님께서 용돈을
챙겨주신다면 굳이 줄 필요는 없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만약 대학생이라면
10만 원이 적당하다.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한다면
15~20만 원이 적당하다.
사회초년생이라면
25만 원을 추천한다.
결혼 적령기라면
40만 원 정도가 적당하다.
자녀가 있다면 아이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초등학생까지는
1명당 2만 원,
중학생부터는
5만 원씩 주는 것이 좋다.
그럼 이 세뱃돈을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요?
봉투에 담아 줄 때는
빳빳한 새 지폐를 준비한다.
그리고 봉투 겉면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는 문구를 적어준다.
또한 그냥 건네주기보다는
“○○아, 올해 공부 열심히 해서
원하는 대학 합격하길 바란다”라고
한마디 덧붙이는 것이 좋다.
또한 명절선물은
어떤 선물을 주면 좋아할까요?
이것도 함께 알아보자,,
요즘엔 현금 대신 상품권을
주는 경우도 많은데,
백화점 상품권보다는
문화상품권 같은 게 좋다.
어린아이에게는 책가방이나
학용품 세트처럼 실용적인
선물을 해주는 것이 좋고,
중고등학생에게는
신발이나 의류같이
유행에 민감한 아이템을
사주면 좋아한다.
성인에게는 취향에 맞는
향수나 화장품 같은 걸 주면
센스 있는 선물이 될 것이다.
부모님께는 어떤
선물을 드리면 좋을까?
제가 추천드리는 건 건강식품이다.
아무래도 연세가 드실수록
면역력이 약해지셔서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미리미리 챙겨드려야
한다고 생각하기때문...
홍삼 같은 경우는 체질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좋은
식품이기 때문에 부담
없이 드리기 좋을 것 같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아니면 안마의자 같은
고가의 상품도 형편이
되신다면이야 괜찮을 것같다.
이렇게 다양한 상품이 있지만은,
음... 현금만큼 좋은 건 없다.
다만 금액이 너무 크면 받는 사람에게
부담스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물섭취량 물권장량 혹시 알고계시나요? (0) | 2023.01.23 |
---|---|
앞으로의 비트코인 원리 방향 코인이란 무었인가? (0) | 2023.01.22 |
보수와 진보 차이점 뜻풀이함께 구분해보기^^ (0) | 2023.01.18 |
토마토? 야채 과일 채소 구별법 차이점 함께 알아보기 (0) | 2023.01.16 |
겨울철 빙판길 눈길운전 요령 운전팁 스킬 사고예방법 (0) | 2023.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