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운전 시 눈이 오면
시야 확보가 어려워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한다.
실제로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12월~2월 사이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망자 수도
다른 달보다 많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겨울 철 눈길에서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을까?
먼저 차량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 및 마모상태
확인 후 교체주기일 경우
즉시 교체하도록 하자.
스노 체인도 미리 준비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자.
그리고 출발 전 와이퍼
작동 여부 체크하기,
워셔액 보충하기,
히터 필터 교환하기 등 기본적인
사항들은 숙지해 두도록 하자.
또한 블랙 아이스 현상 주의하기다.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갈
경우 노면 위에 녹았던 눈이
얇은 빙판으로 얼어붙는
현상인데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감속 운행하며
앞차와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시켜 주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미끄러질 때 핸들
조작을 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 도로
상황에선 항상 방어운전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자.
예를 들어 급브레이크 대신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풋 브레이크를 여러 번 나눠
밟는 방법들처럼 말이다.
만일 불가피하게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차가 미끄러진다면
당황하지 말고 차를 멈출 수
있도록 핸들을 차체가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틀어주고 속도를
서서히 줄여나가야 한다.
그 이후엔 비상등을 켜고
안전한 곳으로 주차해야 한다.
또한 미끄러운 길에서의
타이어 공기압은 평소보다
10%가량 높게 해주는 것이 좋고
스노우 체인을 준비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도록 하자.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항상 일기예보를 확인해서
미리미리 차량 점검을 하고
운전 시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겨울 교통사고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
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그리고 한 가지 더!
눈길 위 모래나 염화칼슘
같은 제설제 또한 미끄럼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눈이
많이 온 날에는 가급적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하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운전을 해야 한다면...
위 내용들을 숙지한다면
보다 안전하게 겨울철 도로주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모든
운전자들에게 눈길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주의사항을
알려주고자 한다.
먼저 명심해야 할 것이 있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그것 바로 과속 금지다.
특히 빙판길이나 눈길에선
제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규정 속도로 주행해야 한다.
또 급출발·급가속·급제동 삼가기,
엔진브레이크 활용하기,
브레이크 나눠서 밟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자.
게다가 겨울용 타이어 사용 및
스노체인 구비 역시 필수다.
다만 체인 장착 시 시속 30km
이하로 운행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자.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차량 간 안전거리 확보!
빙판길에서의 사고는 연쇄
추돌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앞차와의 간격을
충분히 유지하며
감속운전을 하도록 하자.
그러나 가장 좋은 건 아예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가까운 거리는
걸어가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 빙판길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운전자 스스로 주의를
기울이는 게 최선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차를 가지고 외출할 경우
위에서 알려드린 내용을
숙지하여 모두모두
안전하게 겨울을 보내자.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공감버튼 한번만 눌러주시면
정말 복받으실껍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수와 진보 차이점 뜻풀이함께 구분해보기^^ (0) | 2023.01.18 |
---|---|
토마토? 야채 과일 채소 구별법 차이점 함께 알아보기 (0) | 2023.01.16 |
어깨통증&오십견 통증증상 원인 아픈이유 치료방법 (0) | 2023.01.14 |
지구 해양 온난화 가속 심화 하루빨리 막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하나? (0) | 2023.01.13 |
중대선거구제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기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