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건 모두
알고 계실 겁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닌데요.
요즘 들어 부쩍 폭염주의보나
한파주의보 같은 기상특보가
자주 발령되고 있습니다.
올해만 해도 벌써 역대급
장마 기간을 기록했고
태풍 힌남노 또한 강력한 위력을 뽐내며
남쪽지방을 관통했죠.
그리고 현재 북극에서는 전례 없는
규모의 빙하 붕괴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추세라면
2100년경에는 해수면이
최대 3m 상승할 것이고 이로 인해 수많은
도시들이 물에 잠길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는데요.
정말 이대로 가다간 인류 문명
자체가 무너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전기차 보급 확대 및
탄소배출량 감축 정책 추진처럼
당장 실행 가능한 대책부터
여러 나라들과의 공조를 통한
국제사회의 노력이나 세계
각국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그린뉴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식으로요.
물론 그전에 인간 스스로
환경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게 우선이겠죠.
저부터라도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는 등 일상 속
작은 실천들을 해나가야겠습니다.
아마도 미래 세대에게 깨끗한
지구를 물려주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일일 테니까요.
그렇지만 아무리 개개인이
노력한다고 해도 지금 같은
상황이 계속된다면 언젠가는
큰 위기가 닥칠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전 세계
모든 국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 들자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그린뉴딜)이라든지,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회복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디지털 뉴딜) 같이
기존 산업구조를 바꾸는
거대한 변화까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지 않고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노력도 중요합니다.
또한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긴 호흡으로 접근하면서
민간 부문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식이어야 하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정책이든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 및 집행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
사회에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생존이 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미인데요.
저 역시 이번 기회에 그 심각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고,
오늘부터 탄소배출 줄이기
운동에 동참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저의 작은 실천을 통해
작게나마 힘을 보태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끄적끄적 블로그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복받으실껍니다.
공감버튼 한번씩만 눌러주세요^^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빙판길 눈길운전 요령 운전팁 스킬 사고예방법 (0) | 2023.01.15 |
---|---|
어깨통증&오십견 통증증상 원인 아픈이유 치료방법 (0) | 2023.01.14 |
중대선거구제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기 (0) | 2023.01.10 |
요로결석 의심 고통증상과 진단 예방 치료법 정리 (0) | 2023.01.09 |
불청객 초 미세먼지 발생시 행동요령 어떻게하나?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