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되니 알레르기도 심하고
피부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건조한 게 느껴지는데요~
오늘은 사람들의 피부색이
다 다르듯,,,
개인별 피부 타입을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함께 알아보시죠^^
우선 이것부터 알고 가야 될 듯!
피부타입이란?
사람마다 다른 유분과 수분의
비율 차이입니다.
지성/건성/복합성 등
다양한 피부타입이 존재하는데요.
어떤 사람은 겨울에
건조함을 많이 느끼고
어떤 사람은 여름에 유분이 많아
고생하기도 하죠.
그래서 자신의 피부타입을 알고
알맞은 화장품을 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내 피부타입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세안 후
스킨케어 단계에서 얼굴 전체가
당기는지 아닌지 보는 거예요.
만약 당긴다면 건성,
안 당긴다면 중성,
둘 다 해당되지 않는다면
지성이랍니다.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
아래 항목들을 체크해 보세요!
-세안 후 1시간 이내에 기초화장품을
바르지 않으면 심하게 당긴다.
-아침에 일어나면
코 주변에 기름기가 많다.
-눈가와 입가는 건조하다.
-메이크업 시 각질이 부각된다.
-얼굴 부위별로 피부톤이 다르다.
-T존(이마, 코) 부위에
블랙헤드나 화이트헤드가 있다.
-모공이 눈에 띄게 넓다.
-여드름 흉터 또는 잡티가 있다.
-유분감이 많은 크림을 바르면
트러블이 생긴다.
-각질제거제를 사용하면
피부가 붉어진다.
-콧등이나 턱 주위에
피지가 많이 분비된다.
-뾰루지가 자주 난다.
-평소 메이크업이 잘 뜬다.
-계절 변화에 따라 피부 상태가 변한다.
-손으로 만졌을 때 피부가 거칠다.-볼록 튀어나온 여드름이 아니라
붉은 자국들이 보인다.
-머리를 매일 감아도 비듬이 생긴다.
-몸에 비해 얼굴에 열이 많고 홍조가 있다.
-땀을 흘리면 얼굴이 가렵고 따갑다.
-입술이 쉽게 건조해진다.
-손톱 큐티클이 두껍다.
-팔꿈치 안쪽이나 무릎 뒤쪽에 닭살이 있다.
-햇빛 알레르기가 있다.
-머리카락이 푸석푸석하거나 윤기가 없다.
-두피가 가렵거나 뾰루지가 난다.
-샤워 후 보습제를 바르지 않아도 된다.
위 항목 중 5개 이상 해당된다면
당신은 복합성 피부랍니다!
그렇다면 화장품 선택 시,
지성피부인 사람은
어떤 걸 발라야 하나요?
보통 지성피부이신 분들은
오일프리 제품을 선호하시는데요,
무조건 오일프리라고
좋은 건 아니랍니다.
오히려 너무 가벼운 제형의
제품보다는 적당히 유수분 밸런스를
맞춰주는 제품을 선택하시는 게 좋아요.
또한 모공을 막는 성분이 있는지 없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답니다.
특히 클렌징오일 같은 경우
세정력이 강한 만큼 자극성분이
들어있을 확률이 높아요.
따라서 민감성 피부라면
반드시 피해야겠죠?
건성피부인 사람은
어떤 걸 발라야 하나요?
건성피부 역시 마찬가지로
수분감 위주의 제품을 고르되,
보습력이 오래 지속되는
제품을 골라야 해요.
그리고 악건성이라면
페이스오일을 섞어
바르는 것도 추천드려요.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끈적이지 않는
산뜻한 마무리감의 제품을
골라주셔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복합성피부인 사람은
어떤 걸 발라야 하나요?
복합성피부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요,
첫 번째는 이마와 코부분에만
유분이 올라오는 '수부지'형이고,
두 번째는 양쪽 볼 모두 건조하지만
T존은 유분이 나오는
'속건성'형이에요.
먼저 수부지형은 겉은 보송하면서
속은 촉촉한 제품을
발라줘야 하기 때문에 속보습 케어
위주로 해주시는 게 좋고,
속건성형은 적당한 영양감 있는
제품을 발라서 유수분밸런스를
맞춰주시면 된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오늘은 이렇게 피부타입별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떠셨나요?
나에게 맞는 제품을 찾으셨나요?
피부 타입을 모르셨거나
알고 싶으셨던 분들께
도움이 되는 정보였으면 좋겠네요^^
남은 일요일 푹 쉬시고요
내일 또 찾아뵙겠습니다!!
공감버튼 한번 눌러주고 가시면
복받으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성간염이란 무엇인가? 증상 치료법 정보 (0) | 2023.03.28 |
---|---|
이혼 사유 1위부터 10위까지 순위 정보알아보기 (0) | 2023.03.27 |
위르겐 클린스만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감독 알아보기 (0) | 2023.03.26 |
봄철 불청객 미세먼지와 황사 차이가 뭘까요? (0) | 2023.03.25 |
술 마실때 덜 취하게 잘먹는 방법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