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이킷 끄적끄적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꿈을 왜 꾸는지...
자면서 꿈을 꾸는 이유
간단하게 재미있게 정리해 봤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인간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뇌 활동을 멈추지 않는다.
수면 상태에서는 낮에 경험한
일들을 정리하고
기억 속에 저장한다.
그리고 필요한 정보는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이때 렘수면 단계에선
눈동자가 빠르게 움직이고
호흡과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진다.
쉽게 말해 얕은 잠을
자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비렘수면 단계에선
깊은 잠을 자는데 신체
회복 및 성장 호르몬 분비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려면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대인들에게
숙면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부족한 운동 탓에 불면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스마트폰 사용까지
늘어나면서 잠자리에 들기
직전까지 휴대폰을
들여다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로 인해 생체 리듬이
깨지고 수면 장애를
겪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잠들기
최소 1시간 전부터는
전자 기기 사용을
자제하라고 조언한다.
그래야 멜라토닌 분비가
촉진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매일 잠을 잔다.
그리고 자는 동안 꿈을 꾼다.
보통 렘수면 상태에서
꿈을 꾸는데 이때 뇌파가
깨어있을 때와 비슷해진다고 한다.
따라서 낮에 경험한
일들이 무의식 속에
저장되었다가
수면 중에 발현되는 것이다.
물론 모든 꿈이
기억나는 건 아니다.
깊은 잠에 빠지면 의식이
사라지기 때문에 아예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간혹 악몽을 꿀 때도
있는데 이럴 땐 식은땀을
흘리며 괴로워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꿈을 꾸는 이유는 뭘까?
아직 정확한 답은 없지만
과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학습효과설이다.
반복학습을 통해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전환시키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둘째, 감정조절설이다.
공포심이나 분노 등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
나타난다는 견해다.
셋째, 신체회복설이다.
육체적 피로를 회복시키고
에너지를 재충전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어찌 됐든 분명한 건 꿈을
꾸지 않는 편이 좋다는 사실이다.
숙면을 방해받을 뿐만
아니라 다음날 컨디션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되도록 좋은 꿈만
꾸고 싶다면 잠들기 전에
마음을 편안하게 먹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자.
그러면 분명 기분
좋은 꿈을 꿀 수 있을 테니 말이다.
공감버튼 한번 눌러주시면
복 많이 받으실껍니다.
반드시...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식증 신경성식욕부진증 섭식 식이 장애 증상 무엇인가 알아보기 (0) | 2023.01.07 |
---|---|
손 발톱이 자라나는 이유와 손발톱 관리 정보 (0) | 2023.01.04 |
정상 심박수 심장박동수 간단 알아보기 (0) | 2023.01.01 |
눈이 내리는 이유,, 눈은 왜 내리는걸까? (0) | 2022.12.28 |
동지에 팥죽 먹는이유 유래 함께 알아봐요^^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