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갑습니다
오늘은 101주년
3.1일 우리말 정보
시작합니다.
우리말에는
불교에 영항을
받은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먼저,,
뒷바라지.
이 뒷바리지의
뜻은
법주스님을 도와
목탁을 치고
차(茶)를 올리는
스님을 일컫는
'바라지스님'에서
나온 말이라고합니다.
자잘하고
수고스러운 일을
해준다는 행동에서
뒷바라지 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또,
성가신일을 당할때
'시달리다'라는
말도 쓰는데요,,,
'시다림'
屍茶林 은
인도의 숲이름으로
일종에
공동묘지
이라고합니다.
도를 닦는
수행생들은
고행의 장소로
무서운
이 '시다림'을 즐겨
찾았다고합니다.
그래서 이 시다림이
곧 고행을 뜻하는
말이되었고
우리말
시달리다가
탄생하게 되었다네요^^
오늘 3.1절 우리 선조들의
대단한 결단이
지금의
대한민국의
기틀을 만들어주신것
같습니다.
일제가 총칼로 짓밟으려한
시달림을
견디고
독립만을
생각한 오늘.
저도 짧지만
우리말공부로
나라사랑
짧게나마
의미있는 시간
갖어보았습니다.
내일 뵙죠.
글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반응형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렛나루/구레나루/털복숭이/털북숭이 맞는말? (0) | 2020.03.03 |
---|---|
간단정리 괜시리 괜스레 시리 끔 맞춤법 우리말 공부 (1) | 2020.03.02 |
어거지vs억지 억지춘향 뜻 말풀이 맞는말은? (0) | 2020.02.29 |
탕평채라는 음식 유래 무슨뜻인지 간단정리 (0) | 2020.02.27 |
남편이란 말을 다르게 지칭하는 우리말 정보 (0) | 2020.02.26 |